퍼포먼스 활용법

2012. 1. 23. 04:18사진정보

728x90
반응형
 TAMRON AF18-270mm F/3.5-6.3 Di II VC의 퍼포먼스 활용법

광각에서는 피사체에 가까이 다가가 박력있는 구도를 연출하는 것이 기본(18mm 시)
표고 2,000미터 이상의 고지대에서는 '새우의 꼬리(エビのしっぽ):역주-바람에 의해 한쪽 방향으로 얼음이 얼어 붙은 모습을 새우 꼬리에 비유'라고 불리는 얼음이 많이 있습니다. 광각 영역에서는 왜곡된 원근감으로 얼어붙은 나무의 존재감을 강하게 부각시킬 수 있으며, 넓은 화각을 통해 주변의 모습도 함께 촬영하였습니다.
▣ Canon EOS 50D, TAMRON AF18-270mm F/3.5-6.3 Di II VC · 18mm (환산 초점 거리:28mm) F/10 1/100초 EV+1 ISO100 WB 태양광

광대한 공간을 스트레이트하게 표현 (18mm 시)
맑았던 날의 저녁. 해가 지면서 하늘이 아름다운 그라데이션으로 물들었습니다. 오렌지색의 빛 안에 떠오르는 산들, 하늘에서는 초승달이 떠올라 금성과 목성을 담을 수 있었습니다. 일본의 자연 풍경의 아름다움이라기 보다 우주를 느낀 순간. 아름다운 그다데리션의 하늘을 광각 영역에서 스트레이트하게 촬영했습니다.
▣ Canon EOS 50D, TAMRON AF18-270mm F/3.5-6.3 Di II VC · 18mm (환산 초점 거리:28mm) F/8 1/5초 ISO400 WB 태양광

어떤 순간에도 대응할 수 있는 촬영 장비를 선택하자.
풍경 촬영이나 네이쳐 포토 등으로 불리는 자연 대상의 촬영에서는 적절한 시간과 적절한 장소에 촬영자가 반드시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촬영 당시의 기상이나 계절, 기후 변화를 관찰하여 촬영 장소를 결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자연의 것보다 아름다운 모습을 파악하려고 하는 마음으로 다양한 피사체를 찾아내는 것, 최적의 구도와 촬영 장소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어느 정도까지는 차량을 통해 이동하더라도, 어느 순간부터는 차에서 내려 도보로 이동하는 일도 많아지게 됩니다.

이런 목적을 실행하는 것에 있어, 장애물이 되는 것이 촬영 장비입니다. 촬영에 적합한 풍경, 피사체를 만나는 것은 예측하기가 어렵습니다. 태양이라는 단 하나의 광원에 의해 만들어지는 빛과 그림자, 날씨 변화에 의해 만들어진 자연의 모습 등은 촬영 장소에 도착한 후에 발견하는 일도 흔한일입니다. 확실한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해서는 광각에서 망원, 매크로 등 어떠한 피사체를 만나더라도 촬영할 수 있을만한 준비가 필요합니다. 즉, 많은 장비로 인해 무거워져 이동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저기압이 지나간 후, 굉장한 강품이 불어 크고 거친 파도를 일으키고 있었습니다. 석양에 불드는 바다를 촬영하였습니다. 강한 바람 탓에 삼각대를 사용해도 카메라가 흔들려 VC 기능을 작동시킨 후, 핸드 헬드 촬영으로 촬영을 마쳤습니다. 바다 앞의 소나무과 늘어서있는 바위들의 균형미를 느낄 수 있는 구도로 촬영했습니다.
▣ Canon EOS 50D, TAMRON AF18-270mm F/3.5-6.3 Di II VC · 32mm (환산 초점 거리:50mm) F/5.6 1/10초 EV-2 ISO400 WB 태양광

고배율 줌과 진동 보정 기능이 가능하게 하는 것들
이 촬영에 사용한 TAMRON의 AF18-270mm F/3.5-6.3 Di II VC는 35mm 환산 초점 거리 기준 28 - 420mm의 고배율 줌 렌즈입니다. 게다가 진동 보정 기능인 VC(Vibration Compensation)을 탑재하여 광각에서 망원까지 모든 영역을 하나의 렌즈로 커버하여 어떤 피사체를 만나도 렌즈 교환의 걱정없이 촬영할 수 있습니다. 최단 촬영 거리도 줌 전영역에서 49cm로 짧아, 피사체를 클로즈 업 해 촬영할 수 있으며, 단 하나의 렌즈와 한대의 카메라로 거의 모든 촬영이 가능하여 과도한 장비로 인한 피로도 적고 편안한 자세로 촬영할 수 있습니다. 진동 보정 기능을 탑재하고 있어, 흘들림 없는 사진을 촬영할 수 있으므로, 노이즈 발생의 우려가 있는 높은 감도를 사용하지 않고도 촬영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적당한 망원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중 망원 영역에서는 풍경의 규모나 스케일을 표현하기 쉽습니다. 큰 물결이 부서진 순간, 각기 다른 모습의 장소를 촬영하기 위해 줌을 조정해 아름다운 장소만을 잘라 냈습니다. 파도가 노출되는 장소를 예측한 후, 빠르게 구도를 잡아 촬영을 해야 하기 때문에, 핸드 헬드 촬영을 하였습니다.
▣ Canon EOS 50D, TAMRON AF18-270mm F/3.5-6.3 Di II VC · 59mm (환산 초점 거리:91mm) F/5.6 1/10초 EV-2 ISO400 WB 태양광

풍부한 초점 거리를 활용하자.
풍경 촬영에서는 지형, 지물 등의 제약으로 인해 촬영 장소를 자유롭게 선택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필요한 만큼을 담아내는 구도 잡기가 중요하므로, 줌을 사용하고 제대로 구도를 잡아야 합니다. 자유롭게 촬영 장소를 선택할 수 있는 곳에서는 줌 렌즈의 초점 거리 변화에 따라 변하는 묘사 특성을 살려 촬영하는 것이 좋습니다.

석양과 구름의 균형을 맞춘 구도
구름에 가려진 태양. 구름의 그늘에 숨어있는 태양이 아름다운 빛내림을 만들고 있습니다. 석양의 촬영에서는 구름의 표정도 중요한 요소입니다. 가까워 질 수 없는 석양같은 피사체는 줌으로 구도를 설정할 수 밖에 없습니다. 석양이 떨어지는 속도는 생각보다 빠르기 때문에, 다양한 구도로 촬영을 하려면 고배율 줌을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Canon EOS 50D, TAMRON AF18-270mm F/3.5-6.3 Di II VC · 119mm (환산 초점 거리:184mm) F/6.3 1/1250초 EV-1.7 ISO400 WB 태양광

망원 효과로 배경의 산을 구도에 넣자
오랜 시간을 거쳐 성장한 나무에 붙은 얼음을 클로즈 업했습니다. 가까이 다가가기 힘든 장소라 주밍하여 촬영했습니다. 망원으로 찍는 것으로 배경의 산을 구도에 끌어들니게 되어 혹한의 겨울의 이미지를 사진에 구성하게 되었습니다. 필요 이상으로 클로즈 업 할 경우, 단조로운 사진이 될 수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
▣ Canon EOS 50D, TAMRON AF18-270mm F/3.5-6.3 Di II VC · 142mm (환산 초점 거리:220mm) F/6.3 1/160초 EV+1 ISO100 WB 태양광

초망원 렌즈만이 가능한 원근감으로 표현
서있으면 휘청거릴 정도의 강한 바람이 불고, 부서진 파도의 물보라가 안개처럼 날아오는 상황에서는 바람이 너무 강해 삼각대도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바위에 부서진 파도의 물보라가 아름다워 망원 영역의 압축 효과를 이용하여 강력한 파도의 표정을 촬영하였습니다.
▣ Canon EOS 50D, TAMRON AF18-270mm F/3.5-6.3 Di II VC · 238mm (환산 초점 거리:369mm) F/6.3 1/200초 EV-0.7 ISO100 WB 태양광

광각 영역에서는 원근감을, 망원에서는 배경 압축 효과를!
광각 영역에서 강조되는 원근감을 이용하여, 넓은 배경을 찍어 박력있는 사진을 촬영할 수 있습니다. 표준 영역에서는 자연스러운 묘사를, 망원 영역에서는 피사체의 특징적인 부분만을 잘라 촬영합니다. 초망원 영역에서는 배경 압축 효과를 이용하여 피사체의 볼륨감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초점 거리가 변할때 마다 반영되는 묘사력의 특징을 염두에 둔 후, 촬영 시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의도적으로 조절하여 촬영하는 것이 이 렌즈를 특성을 잘 이용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풍경은 단 한번의 찬스로 촬영하자!
렌즈에 표기된 스펙은 270mm이지만, 35mm 환산 초점 거리로는 419mm라는 초망원 영역이 됩니다. 예전 같았으면 핸드 헬드 촬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초점 거리가 아니었지만, 진동 보정 기능인 VC의 힘으로 부담없이 즐길 수 있는 화각이 되었습니다. 나가노현의 기리가미네에서 바로보는 후지산의 맑은 날 저녁, 후지산의 실루엣이 떠올랐습니다.
▣ Canon EOS 50D, TAMRON AF18-270mm F/3.5-6.3 Di II VC · 270mm(환산 초점 거리:419mm) F/7.1 1/30초 EV-2 ISO400 WB 태양광

ISO 증감 없이 샤프하게 촬영할 수 있다.
풍경 촬영은 기본적으로 흔들림이 없는 선명한 사진을 전제로 하여 촬영합니다. 떨림을 막기 위해 삼각대를 사용하거나ISO 감도를 높여 셔터 스피드를 확보하는 방법이 있습니다만, 삼각대는 촬영에 필요한 부피가 커지고 무거워지는 일이 쉽고, ISO를 지나치게 증감하면 이미지가 거칠어져 묘사 능력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그 때문에, ISO 감도를 증감하지 않고 흔들림 없는 선명한 사진을 얻으려면 VC와 같은 진동 보정 기능이 큰 도움이 됩니다. 삼각대를 사용할 수 없고, 제한되는 장소 등, 지금까지 ISO 증감하지 않고 촬영할 수 없던 장소에서도 진동 보정 기능이 손 떨림을 감소 시켜주기 때문에, 감도를 높이지 않고록 선명한 사진을 촬영할 수 있습니다.

  • 셔터 찬스를 놓치지 않는 진동 보정 기능
    이번 촬영을 통해 진동 보정 기능의 성능을 제대로 확인했습니다. 아무리 기술이 발달해도, 약간은 흔들릴 것이라고 생각하고 셔터를 눌렀지만 매우 선명한 사진이 촬영되었습니다. 촬영 당시의 초점 거리는 184mm(35mm 환산 초점 거리:285mm)로 촬영, 흔들림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셔터스피드인 (1/초점거리 (초))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최소 1/250초를 확보해야 하지만 ISO 100에서 얻을 수 있던 셔터 스피드는 1/40초로 느려져서 삼각대를 세우거나 하는 사이에 새가 날아가버릴 수 있는 핸드 헬드 촬영이 강요되는(?!) 상황에서의 진동 보정 기능은 매우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Canon EOS 50D, TAMRON AF18-270mm F/3.5-6.3 Di II VC · 184mm(환산 초점 거리:285mm) F/6.3 1/40초 EV+0.3 ISO100 WB 태양광

삼각대를 설치할 수 없는 곳에서의 핸드 헬드 촬영(184mm)
작은 강의 흐름이 있는 응달에서는 아름다운 얼음의 조형이 만들어져 있었습니다. 가까이 촬영하고 싶어도 강에 접근해야만 했기에, 조금 떨어진 장소에서 망원으로 촬영하였습니다. 초점 거리를 생각하면 흔들리지 않는게 이상할 정도의 초점 거리와 셔터 스피드, ISO를 400으로 증감해도 여전히 부족한 셔터 스피드, 지면이 좋지 않아 삼각대의 설치도 불가능한 상황이라 진동 보정 기능에 의존하여 촬영하였습니다. 놀라운 성능의 진동 보정 기능 덕분에 전혀 흔들리지 않고 촬영할 수 있었습니다.
▣ Canon EOS 50D, TAMRON AF18-270mm F/3.5-6.3 Di II VC · 184mm (환산 초점 거리:285mm) F/5.6 1/15초 EV-1 ISO400 WB 태양광

삼각대를 사용하지 않아도 매크로 촬영이 가능하다.
매크로 촬영과 같은 피사체의 클로즈 업 촬영의 경우, 약간의 앵글만 달라져도 사진의 느낌이 크게 달라집니다. 삼각대의 설치도 가장 효과적인 연출이 가능한 곳에 설치하느라 고생하곤 합니다. 클로즈 업이 되면 피사체를 크게 확대하기 위해 흔들리기가 쉽습니다만, 그런 경우에도 진동 보정 기술과 짧은 최단 촬영 거리를 제공하는 AF18-270mm F/3.5-6.3 Di II VC라면 샤프한 사진을 경쾌하게 촬영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합니다.


짧은 최단 촬영 거리를 살려, 꽃을 부각(270mm 매크로 촬영)
고배율 줌 렌즈의 장점은, 광각에서 망원까지 하나의 렌즈로 촬영할 수 있는 것 외에 짧은 최단 촬영 거리를 살려 매크로 촬영을 즐길 수 있는 것도 큰 매력중의 하나입니다. 전 줌 영역에서 49cm까지 접근하기 위해 적당한 크기로 촬영을 할 수 있습니다. 매크로는 흔들리기 쉽지만, 진동 보정 기능을 탑재하고 있어 안심하고 촬영할 수 있었습니다. 스포트 라이트 처럼 내려진 빛을 맞은 꽃을 촬영하였지만, 몇 분만에 사라져 버렸습니다.
▣ Canon EOS 50D, TAMRON AF18-270mm F/3.5-6.3 Di II VC · 270mm (환산 초점 거리:419mm) F/6.3 1/30초 EV-1.3 ISO400 WB 태양광

하나의 렌즈로 풍부한 초점 거리의 묘사 능력을 최대한으로 살릴 수 있습니다.
[광각 영역에서 망원 영역까지의 화각, 원근감 비교]

  • 18mm
    18mm
  • 35mm
    35mm
  • 70mm
    70mm
  • 119mm
    119mm
  • 154mm
    154mm
  • 218mm
    218mm
  • 270mm
    270mm



자료출처
http://sun-photo.co.kr/_contents/contentsView.php?brandtype=01&ctscode=01_work
728x90
반응형